반응형
250x250

[가구, 인테리어] DIY가구, 주방가구, 일반가구 원자재에 대해 알아봅시다.

728x90
728x90

지난 포스팅에서는 건설현장 가구공사의 친환경자재를 확인할 수 있는 챔버법(소형챔버, 대형챔버)과 자재의 등급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구를 만드는 나무, 원자재(PB, MDF, PW 등)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

 

MDF VS PB

 

Ⅰ. 자재의 구분

원자재 : 제품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자재로 가공을 하지 않은 자재 및 1차 가공한 자재

- 코아(CORE)자재 - 성형 자재의 내부자재 (PB(파티클보드), PW(합판), MDF(중질섬유판), 원목 등)

- 표면자재 - CORE 자재의 표면에 접착되는 SHEET (LPM, HPM, PVC SHEET, PET 등)

- 부자재 - 원자재에 부수적으로 구성되는 일부자재 (H/W, 유리, 플라스틱 등)

1. 코어 자재

1) 목재(원목/Real wood) - 자연의 나무 자재로 이루어진 판재 혹은 각재이다.

  • 장점
    - 나무의 수종에 따른 무늬결의 다양성으로 고급스러운 자재이다.
    - 2차 가공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 가능하다.

    - 시간의 경과에 따른 형태의 제품 가능하다.
  • 단점
    - 옹이, 썩음, 뒤틀림의 결점
    - 가격이 비싸다(수종에 따라 차이)
    - 크기의 한계

    - 가공이 힘들다
  • 용도
    - 원목도어류, 일부 장식 몰딩

2) 집성재

제재 판재 또는 소각재 등의 목재를 가구 용재에 알맞게 각재로 절단하고 무늬 방향을 서로 평행시켜 길이, 너비 및 두께 방향으로 집성 고주파를 이용 하여 접착 후 무늬목으로 치장한 자재이다.

  • 장점
    - 원하는 규격에 맞추어 목재, 판재를 얻을 수 있다.
    - 목재의 홈을 제거하여 집성함으로 가구 용재로 사용이 편리하다

    - 다양한 두께로 생산이 가능하다.
  • 단점
    - 목재와 같이 수축, 팽창, 휨 등 발생 가능하다.
    - 목재의 접합부위 떨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.
    - 짧은 소재로 인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.

  • 용도
    - 원목 가구용 판재로 많이 쓰인다.

3) 합판

원목을 엷게 깎은 판재(단판/Veneer)를 단판끼리 그 무늬 방향이 서로 직각이 되게 홀수로 구성시켜 각 증마다 접착제를 도포시켜 열과 압력을 가해 만든 판상제품이다.

  • 장점
    - 수축, 팽창, 뒤틀림 및 갈라짐이 없다.
    - 물과 압력 하중에 강하다.

    - 원목에 비해 물성이 우수하여 경제적이다.
  • 단점
    - 단판의 완전 접착이 어렵다.
    - 원목 상태에 따라 품질에 편차가 심하다.
    - PB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.

  • 용도
    - 싱크 상판, 밴드류(보조목, 시공목 등)
728x90

4) PB(파티클 보드)

파티클보드란 목재 및 기타 식물 섬유질의 작은 조각(칩, 플레이크, 웨이퍼, 스트랜드 등) 즉, 절삭 편 또는 파쇄 편 등을 주재료로 하여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 하 여 성형, 열압시킨 밀도 0.5g/㎤ 이상 0.8g/㎤ 이하의 판재상 제품을 말한다.

  • 장점
    - 결이 없어 방향 간 수축률의 차이가 적다.
    - 부식, 비틀림 등의 목재의 결점이 없다.

    - 저가 원료를 사용하여 값이 저렴하고 실용성이 높다.
  • 단점
    - 성형 시 오염 발생 가능성이 있다.
    - 내수성이 약하다.

  • 용도
    - 싱크대 몸통, 일부 도어류(LPM)

5) MDF(중질 섬유판)

MDF는 목질 재료를 주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해섬 하여 얻은 목섬유(Wood Fiber)를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시켜 성형, 열압하여 만든 밀도 0.35~0.85g/㎤의 목질판상 제품이며 3.0㎜에서 30㎜두께까지 생산이 가능하다.

  • 장점
    - 표면 가공성이 뛰어나다.
    - 원목, 합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.

    - 단열, 흡음성이 뛰어나다.
  • 단점
    - PB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.
    - 내수성이 약하다.

  • 용도
    - 씽크대 가구류의 도어, 장식판류 등

   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구의 가장 중요한 원자재의 종류와 쓰임새, 장, 단점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. 다음 포스팅에서는 원자재들을 둘러싸고 있는 마감재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728x90

이 글을 공유하기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