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: 인테리어 왕코식객 | 2020. 3. 12. 09:38
1. 주방가구의 구성 요소 1) 상부장 벽장이라고 하기도 하며 벽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장을 의미한다. 벽장을 벽에 설치하기 위하여 벽장의 몸체 조립시 조립되는 부품으로 장을 벽에 설치하여 내구성 및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합판으로 사용해야 하며 벽에 설치하면 마감은 필요 없다. ※ 합판의 규격 - 두께 : 15 mm - 폭 : 40 mm (부득이한 경우 폭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지만 상부장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결정해야 한다.) ① 옆판 ② 밑판 ③ 선반 ④ 뒷판 ⑤ 기둥목 ⑥ 시공보조목(걸침목) ⑦ 윗판 - 천판으로도 불리어지며 장의 상부에 위치한다. - 몸체를 구성하고 있는 표면마감은 동일하며국민임대의 경우 18mm, 파티클보드(PB)위 양면 LPM, 공공임대와 일반분양의 ..
카테고리 : 인테리어 왕코식객 | 2020. 3. 11. 13:41
1. 주방가구의 구성 요소 1) 하부장 주방가구의 하부에 구성되는 장으로 밑장이라 하기도 하며 벽에 고정되지 않고 분리되어 설치되는 장을 말하며 하부장위 상판을 고정하여야 완전한 장이라고 할 수 있다. ① 몸체 장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체로 옆판, 밑판, 선반, 뒷판, 밴드목, 기둥목, 걸레받이 등으로 구성된다. ② 옆판 ․ 측판이라고도 불리어지며 좌, 우로 구분된다. ․ 일부를 제외하고는 몸체를 구성하고 있는 표면마감은 동일하다. ․ 국민임대의 경우 18mm 파티클보드(PB)위 양면 LPM, 공공임대와 일반분양의 경우 15mm PB위 양면 LPM을 마감재로 사용한다. ③ 밑판 지판으로도 불리어지며 장의 하부에 위치한다. ④ 선반 선반에는 이동선반과 고정선반 두 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. ⑤ 뒷판 장의 뒤쪽..